녹천에는 똥이 많다
豆瓣
이창동
简介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중편 부문에 「전리」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창동은 4년 뒤인 1987년 첫 소설집 『소지』를 출간하며 1980년대 대표 작가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5년 만인 1992년에 한국일보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을 표제작으로 한 두번째 소설집 『녹천에는 똥이 많다』를 펴내며 확고한 자신만의 색을 보여주었던 그는, 1997년 「초록물고기」를 통해 영화감독으로 데뷔한 뒤 영화에 전념하면서 자연스레 소설 발표를 하지 않았다. 지금까지 소설가 이창동이 세상에 내놓은 소설집 두 권. 『소지』와 『녹천에는 똥이 많다』가 40년 안팎의 시간을 거슬러, 나란히 2025년에 다시 독자들을 찾아왔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영화감독 이창동 이전에 유망한 소설가 이창동이 있었다. 그가 등단한 1983년은 이른바 ‘5·18세대’의 등장 시기로 일컬어진다. 임철우의 「사평역」이 발표되고 황지우의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가 출간된 해였던 것이다. 이창동의 데뷔작 「전리」도 그 연장선에 있었다. 개정판 『소지』의 해설을 쓴 문학평론가 김형중은 이 작품의 제목을 두고 “죄의식과 자기혐오를 불러일으키는 영원한 저주로서의 전리”라고 설파하며, 이창동의 등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이창동의 글쓰기는 죄의식과 함께 시작되었다. 1983년이었고, 작가의 나이 스물아홉이었다.”
영화감독으로 자리를 옮겨 발표한 「초록물고기」 「박하사탕」 「오아시스」 「밀양」 「시」 「버닝」 등의 영화에서도 이창동이 소설에서 보여준 시선을 느낄 수 있다. 개정판 『녹천에는 똥이 많다』의 해설을 쓴 문학평론가 김영찬은 「초록물고기」의 ‘막동’과 「박하사탕」의 ‘영호’를 언급하며 “『녹천에는 똥이 많다』의 등장인물은 어떤 측면에서 그들의 문학적 원형이다”라고 역설한다. 그러면서 “이창동의 소설이 보다 집중하는 것은 눈에 보이는 정치가 아니라 벌거벗은 생명의 기억과 정신에 내면화되고 육체화된, 보이지 않는 정치의 작용”이라고 말한다.
또한 “희망적인 결론과 손쉬운 도식을 멀리”하고 “과거의 청산과 포스트모던으로 가던 문학적 대세와 발맞추지 않았”던 이창동의 문학이 반시대적이었음을 지적하고, 그리하여 그가 ‘탁월한 동시대인’이었다는 결론에 다다른다. 40년의 세월이 흐른 지금도 이창동의 소설이 여전히 유효한 이유다.
contents
진짜 사나이
용천뱅이
운명에 관하여
녹천에는 똥이 많다
하늘 등燈
초판 해설 | 진정한 가치를 향한 소설적 탐구_성민엽
개정판 해설 | 벌거벗은 생명의 생태학_김영찬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