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지
豆瓣
이창동
简介
198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중편 부문에 「전리戰利」가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창동은 4년 뒤인 1987년 첫 소설집 『소지』를 출간하며 1980년대 대표 작가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5년 만인 1992년에 한국일보문학상을 수상한 작품을 표제작으로 한 두번째 소설집 『녹천에는 똥이 많다』를 펴내며 확고한 자신만의 색을 보여주었던 그는, 1997년 「초록물고기」를 통해 영화감독으로 데뷔한 뒤 영화에 전념하면서 자연스레 소설 발표를 하지 않았다. 지금까지 소설가 이창동이 세상에 내놓은 소설집 두 권. 『소지』와 『녹천에는 똥이 많다』가 40년 안팎의 시간을 거슬러, 나란히 2025년에 다시 독자들을 찾아왔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영화감독 이창동 이전에 유망한 소설가 이창동이 있었다. 그가 등단한 1983년은 이른바 ‘5·18세대’의 등장 시기로 일컬어진다. 임철우의 「사평역」이 발표되고 황지우의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가 출간된 해였던 것이다. 이창동의 데뷔작 「전리戰利」도 그 연장선에 있었다. 개정판 『소지』의 해설을 쓴 문학평론가 김형중은 이 작품의 제목을 두고 “죄의식과 자기혐오를 불러일으키는 영원한 저주로서의 전리”라고 설파하며, 이창동의 등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이창동의 글쓰기는 죄의식과 함께 시작되었다. 1983년이었고, 작가의 나이 스물아홉이었다.”
contents
여러분의 안전을 위해서
불과 먼지
친기親忌
소지燒紙
끈
눈 오는 날
춤
빈집
슈퍼스타를 위하여
꿈꾸는 짐승
전리戰利
초판 해설 | 전통적 삶을 싸안는 성숙한 인식_진형준
2판 해설 | ‘나쁜 피’의 불안과 고통의 뿌리_우찬제
3판 해설 | 끊지 못한 끈_김형중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