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战
决不撤退! (1952) 豆瓣
Retreat, Hell!
导演: 约瑟夫·刘易斯 演员: 弗兰克·洛夫乔伊 / 理查德·加尔森
其它标题: Retreat, Hell! / 三八线生死战(港)
【剧情简介】1950年11月,美军冲过三八线追击溃败北朝鲜军队的美军海军陆战队第一师和第七步兵师,在中朝边境进攻清津水库地区时,遭到中国人民志愿军优势兵力的猛烈反击,陷入中朝军队的重围之中。美军总部下令全面撤退。美军海军陆战队史密斯将军却公然违抗总部命令,下令部下反击中朝部队。海军陆战队斯提夫上尉率领一个营担任掩护任务,经过浴血激战,终于和主力部队一起冲出对方的包围圈。
影评界认为这部影片是正面描写朝鲜战争双方的少有影片之一。它一方面以正面手法再现了中国人民志愿军入朝初期排山倒海的反击规模,同时也歌颂了美军海军陆战队顽强作战的斗志。影片中一个美军下士,刚满17岁,但是在一次夜战中身负三处枪伤的情况下坚守阵地,保证了主峰的安全。该片的另外一个独特之处是大量使用战场实地拍摄的记录片片段。当炮弹在镜头里爆炸时,摄影机剧烈抖动,使观众有如临其境之感。
南部军 (1990) TMDB 豆瓣 IMDb 维基数据
남부군
8.0 (8 个评分) 导演: 郑智泳 演员: 安圣基 / 李慧英
其它标题: 남부군 / Partisans of South Korea
  本片根据朝鲜战争时期朝鲜游击队员李泰的同名自传小说改编。
  1940年到1954年之间,朝鲜半岛先后发生内战以及将美国牵扯其中的战争。仁川登陆后,在美韩联军的强烈攻势下,朝鲜人民军全面向北撤退,北朝鲜驻南通讯社工作的李泰和同事奉上级命令被分配到叶云山一带的朝鲜游击队基地“老鹰旅”。李泰被任命为战斗部队小队长,带领金英等队员展开游击活动。这里汇集了原游击队残部、掉队的朝鲜士兵和对李承晚政权不满而投奔到山中的韩国社会各阶层人士。
  1951年底,曾经战果累累的南部军遭遇大规模讨伐军的威胁,开始困难重重的大撤退。在撤退途中,李泰意外失足滚下山坡,女游击队长金喜淑为救李泰而被前来围剿的讨伐军射杀,而李泰侥幸在风雪中突围,但是和大部队失去联络,幸好巧遇战友金英,金英在逃亡途中不慎失足堕落山下被讨伐军逮捕,但是李泰又幸运地逃脱了。之后他跋山涉水,忍受严寒的天气,只为了回到指定的会合地点,最终他千辛万苦到达会合地点时,却发现其他游击队员早已被讨伐军射杀,这时的他绝望地倒在地上大哭起来⋯
猪排山 (1959) 豆瓣 维基数据 IMDb TMDB
Pork Chop Hill
导演: 刘易斯·迈尔斯通 演员: 格利高里·派克 / 哈里·古蒂诺
其它标题: 폭찹 고지전투 / Pork Chop Hill
朝鲜战争后期的1953年7月,当战争各方在进行和平停战谈判时,美军为了在谈判桌上增加筹码,命令克莱门斯中尉率领美军一个连进攻没有军事价值的255高地。他们知道板门店停战谈判可能随时会达成和平协议,所以一些士兵不太愿意做无谓牺牲。美军在猪排山阵地上与中朝军队进行争夺战,甚至进行残酷的肉搏战,等到增援部队到达时,135人的连队打的就剩下25个人。
本片通过一个黑人士兵的口,再次对美国参加朝鲜战争“为自由而战“提出了质疑。
一去不回的海兵 (1963) 豆瓣
돌아오지 않는 해병
导演: 李晚熙 演员: 张东辉 / 崔戊龙
其它标题: 돌아오지 않는 해병 / Marines Are Gone
在仁川登陆作战的江大硕部队的队员们向北进军,经过自己的故乡。故乡因为战争变得一片狼藉,人们流离失所。在这里,北韩人民军无论是抓住个人或全家都将其杀害,这种南北理念上的的对立,导致兄弟之间都会反目成仇,互为敌人。在郑源洙和安向民的村庄里,队员们和村民与包围过来的共军发生了激烈的冲突,血流成河,这些士兵成了不能回来的海兵。他们中只有安向民一个人活了下来,并最终回到了爱人的怀抱。
冬日十七天 (2018) 豆瓣
17 Days of Winter
导演: 埃里克·布雷维格
其它标题: 17 Days of Winter / 严寒17日
一部以朝鲜战争(韩国称韩国战争或6.25战争)为题材的好莱坞大片将在韩国拍摄,并在全球上映。该片是3D写实电影,投资1.3亿美元(约1500亿韩元),虽然好莱坞拍过好几部反映朝鲜战争的电影,但以韩国为主要拍摄地的,该片还是第一部。好莱坞电影公司Madmedia的韩国法人Madmedia亚洲近日表示:“影片《朝鲜战争》(《Korean War》,暂名)以朝鲜战争中的长津湖战斗为题材,将于2010年下半年在韩国拍摄。由执导了《地心历险记》的埃里克·布雷维格担任导演。”目前计划在韩国拍摄6至7成的戏份,其余部分在新西兰拍摄。
3D大片《朝鲜战争》的主要题材是“长津湖战役”。1950年冬,美军海军陆战队第一师在咸镜北道长津湖附近被中国军队的7个师包围。在险峻的山地和寒冷中,美军战死6000多人。《朝鲜战争》描写了参与该战斗的美海军陆队队员的故事。
目前的日程安排是,在2010年7月前完成剧本,下半年开机,2012年夏天上映。但制作公司表示,很可能所有的日程都会提前3到6个月。
最后的证人 (1980) 豆瓣 维基数据 IMDb TMDB
최후의 증인
导演: 李斗鏞 演员: 河明中 / 郑允姬
其它标题: 최후의 증인 / The Last Witness
Detective Oh Byeong-ho (Hah Myung-joong) of the Munchang PD gets assigned to the murder of Yang Dal-su. As he follows the trail of clues, Oh begins to seek out the people linked to Yang Dal-su's past. He learns that a man named Hwang Ba-wu had harbored a grudge against Dal-su. He also meets Kang Man-ho, who is somehow connected to Ba-wu, and Sohn Ji-hye, a former mistress of Dal-su's who now works in a bar. During the course of his investigation, Oh discovers a shocking secret: Han Dong-ju, the murder victim in the case that put Ba-wu behind bars, is still alive…
阿本科的绿色贝雷帽 (1982) 豆瓣
아벤고 공수군단
导演: 林权泽 演员: 郑允姬 / 尹良河
其它标题: 아벤고 공수군단 / 南北韩三大战役
1950年6月25日,朝鲜战争爆发,朝鲜人民军发起全线反攻,南朝鲜军队不堪一击,产即向南溃逃,互相残杀同胞的战争可谓是悲惨的,南韩组织了称之为ADENKO的特攻队,六名成员个个身怀绝技武艺高超,韩国军向他们下达了破坏北韩人民军弹药库的命令,任务非常艰巨,事实上这是死亡陷阱。
证言 (1974) 豆瓣
증언
导演: 林权泽 演员: 金昌淑 / 申一龍
其它标题: 증언 / 汉城夺回大作战
1950年、北朝鮮に占領された首都ソウルを奪還すべく戦う韓国軍の活躍を描いた戦争映画。出演はシン・イムリョン、キム・チャンスクほか。
红色飞行围巾 (1964) 豆瓣
빨간 마후라
导演: 申相玉 演员: 崔银姬 / 申荣均
其它标题: 빨간 마후라 / 红巾特攻队
故事讲述1952年朝鲜战争期间,韩国空军不少飞行员也壮烈牺牲了,罗冠中少校是众多飞行员当中最勇敢的一个,每次作战总是简单地战斗,战斗结束后就很轻松地与战友们喝酒,罗冠中的同僚卢道宣和女友智善举行了婚礼,但是不久后战死了,而罗冠中发现自己爱上了智善,在战争中照顾死去同僚的妻子比伦理上的道德问题更现实,但似乎一切都改变了,包括爱情观,但罗冠中仍然依旧地执行任务,某日,上级委任了一项非常危险的炸毁敌方补给大桥任务给罗冠中和他的战友们,但这一次,罗冠中不能再像以前一样这么简单地完成任务了,他们跟朝鲜空军作战期间,罗冠中的座机不慎被击中,他在负伤之下连同座机一并冲向敌方的补给大桥,最终成功炸毁了大桥,替部队完成了任务,但是罗冠中就壮烈牺牲了。
回到基地后,中队长拿出罗冠中的遗书给他的战友们看,战友们也哭着地念罗冠中的遗书,此时,罗冠中的母亲也拿着啤酒去到空军基地探望儿子,后来得知儿子战死后,更深明大义地将原来送给儿子的啤酒分给他的战友们喝,并拿出罗冠中的遗物-系在每个飞行员颈上的红巾,惠妍亦在这个时候来到空军基地,后来得知罗冠中战死后,紧紧地握着红巾痛哭。
朝鲜:我们第一次战败 豆瓣
作者: (美)贝文・亚历山大 译者: 郭维敬/刘榜离等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0 - 10
朝鲜战争后,有关各国几十年来先后有多种关于朝鲜战争的论著与记叙出版,美国人贝文・亚历山大的这部书取材比较全面,立论较为客观,主张中、美两个伟大国家发展友好关系;同时本书总体上对美国的好战势力及上层的错误决策,是采取谴责态度的;更对战后艾森豪威尔、肯尼迪、约翰逊各届政府执行的一项项反华政策提出了尖锐批评。由于作者是朝鲜战争的亲历者,又占有包括美国解密档案在内的丰富资料,所以他对整个战争及朝鲜停战谈判中一些问题的记叙,也比较接近真实。
《朝鲜:我们第一次战败--美国人的反思》力图表明,美国领导人,战前已收到了充足的信号,倘若他们对此信号作出反应,则有可能避免红色中国介入战争;即使不能避免共产党中国的介入,也有可能以很小的代价尽早结束这场战争。
本书还试图说明,美国在朝鲜赢得了一场针对北朝鲜的战争,输掉了另一场针对红色中国的战争。这两场战争的本质上完全不同:北朝鲜公然进行侵略而被挫败;红色中国努力保护其家园免遭潜在的入侵威胁而获得胜利。本书还着力如实地展现朝鲜战争的作战情况,以及在制定战略战术方面的高下之别。本书充分展示了战争双方人员为他们所铭记的国家利益而做出的贡献,以及人类令人敬畏的献身精神与奋斗力量。
The Korean War 豆瓣
作者: Bruce Cumings Modern Library 2011 - 7
A bracing account of a war that lingers in our collective memory as both ambiguous and unjustly ignored
For Americans, it was a discrete conflict lasting from 1950 to 1953 that has long been overshadowed by World War II, Vietnam, and the War on Terror. But as Bruce Cumings eloquently explains, for the Asian world the Korean War was a generations-long fight that still haunts contemporary events. And in a very real way, although its true roots and repercussions continue to be either misunderstood, forgotten, or willfully ignored, it is the war that helped form modern America’s relationship to the world.
With access to new evidence and secret materials from both here and abroad, including an archive of captured North Korean documents, Cumings reveals the war as it was actually fought. He describes its start as a civil war, preordained long before the first shots were fired in June 1950 by lingering fury over Japan’s occupation of Korea from 1910 to 1945. Cumings then shares the neglected history of America’s post–World War II occupation of Korea, the untold stories of bloody insurgencies and rebellions, and the powerful militaries organized and equipped by America and the Soviet Union in that divided land. He tells of the United States officially entering the action on the side of the South, and exposes as never before the appalling massacres andatrocities committed on all sides and the “oceans of napalm” dropped on the North by U.S. forces in a remarkably violent war that killed as many as four million Koreans, two thirds of whom were civilians.
In sobering detail, The Korean War chronicles a U.S. home front agitated by Joseph McCarthy, where absolutist conformity discouraged open inquiry and citizen dissent. Cumings incisively ties our current foreign policy back to Korea: an America with hundreds of permanent military bases abroad, a large standing army, and a permanent national security state at home, the ultimate result of a judicious and limited policy of containment evolving into an ongoing and seemingly endless global crusade.
Elegantly written and blisteringly honest, The Korean War is, like the war it illuminates, brief, devastating, and essential.
From the Hardcover edition.
Pork Chop Hill 豆瓣
作者: Marshall, S. L. A. Berkley Pub Group 2000 - 6
A first-hand account of the battle which became legendary in the annals of combat--a dramatic true story of war at its most brutal...and of military valor at its best.
"A distinguished contribution to the literature of war."-- The New York Times
백선엽의 6.25 전쟁 징비록 1 豆瓣
作者: 백선엽 Bookfield 2016 - 7
패전(敗戰)의 역사로 돌아보는 우리의 싸움 기질
우리는 이미 6.25전쟁에 대해 숱하게 들어왔다. 각종 회고록과 역사책, 기록물들이 그 증거다. 하지만 그것들이 6.25전쟁을 제대로 기록하고 있었을까. 책의 저자인 백선엽(96) 예비역 대장은 고개를 가로젓는다.그는 6.25전쟁의 흐름을 관통한 최고의 야전(野戰) 영웅으로 인정받는 인물이다. 한반도 전역을 누비며 전쟁의 현장을 진두지휘했으며, 혹독한 전투 속에서 수많은 죽음의 위기를 겪으면서도 대승을 이끌어냈다. 그런 그가 역사 속에 가려져있던 우리군의 진짜 모습을 꺼내보려 한다. 또한 전쟁 상황에서 우리가 남긴 실수와 아쉬움을 되짚고 그를 통해 미래를 대비하는 자세까지 생각해보게끔 한다.
‘징비록(懲毖錄)’은 그렇게 붙여진 이름이다. 380여 년 전 출간한 유성룡 선생의 동명 저서에서 그 의미를 착안했다. 6.25전쟁 속에 감춰진 패전(敗戰)의 순간들과 그 과정을 제대로 기록하고, 앞으로 언제 닥쳐올지 모를 또 다른 전쟁을 준비하자고 목소리를 낸 것이다.
2013년부터 프리미엄 조선에서 연재했던 ‘백선엽의 6.25 징비록’을 총 3권의 시리즈로 엮었다. 그 서막을 여는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1권 軍은 어떤 존재인가》는 맥아더, 리지웨이, 펑더화이, 김일성 등 저자가 전장에서 마주쳤던 지휘관들의 비화(?話)를 통해 그들의 리더십과 전쟁의 본질을 이야기한다. 또 일련의 군사·정치적 사건들을 바탕으로 6.25전쟁 속 한국군과 미군, 북한군과 중공군의 실제 모습이 어땠는지 파헤쳐본다. 과거의 우리가 진정으로 잘 싸웠는지, 나아가 미래의 우리는 잘 싸울 수 있을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볼 기회를 주는 책이다.
백선엽의 6.25 전쟁 징비록 2 豆瓣
作者: 백선엽 Bookfield 2016 - 10
6.25전쟁의 산증인, 백선엽이 말하는
전쟁의 진정한 의미
백선엽 예비역 대장은 강인하면서도 부드러운 리더십으로 한반도 중심에서 발발한 수많은 전투를 승리로 이끈 야전 지휘관이자, 역사의 산증인이다. 그가 지난 2016년 여름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시리즈를 세상에 내놓자, 그 반응은 무척 뜨거웠다. 반세기가 훨씬 지난 전장의 여파가 아직 진정되지 않은 듯했다. 그야말로 2016년판 ‘신(新) 징비록’인 셈이었다. 그리고 드디어 그 둘째 이야기,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2권 나아갈 때와 물러설 때』가 나왔다.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시리즈는 2013년부터 [프리미엄 조선]에 연재했던 ‘백선엽의 6.25 징비록’을 총 세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이 시리즈는 우리가 잊고 지냈던 6.25전쟁 당시 상황과 역사적 흐름을 생생하게 회고한다. ‘전쟁이란 무엇인가’, ‘전쟁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 ‘전투의 성패(成敗) 요인‘ 등 수없이 많은 전쟁의 의미들은 과연 2016년의 우리에게 어떠한 가치를 던질까. 저자는 바로 그 점에 주목했다. 무엇보다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았고, 못했던 우리 군의 패착을 여실히 들춰봄으로써 사회라는 전쟁터에서 우리가 갖춰야 할 덕목이 무엇일지 함께 고민한다. 유성룡 선생의 ‘징비록(懲毖錄)’에서 표제를 따온 이유도 이 때문이다.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2권 나아갈 때와 물러설 때』는 대한민국 국방의 초석을 다지는 데 큰 힘을 보탠 밴 플리트 장군을 집중 조명했다. 뿐만 아니라 잘 알려진 다부동 전투를 비롯해 국군 최초의 평양 진격 성과 등에 담긴 자세한 곡절을 소개한다. 역사가 상세히 기록하지 않았던 6.25전쟁 초기의 상활을 냉철하고 생생히 회고한다.
이어서 나올 3권에서는 우리 군대가 맞은 참패의 기록을 구체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6.25전쟁은 분명 잊어서는 안 될 우리 모두의 과거이며 역사적 사건이다. 저자는 그러한 6.25전쟁을 이왕이면 ‘제대로’ 알 필요가 있다고 거듭 말한다. 우리의 실수와 한계점을 명료하게 기록하고 인정해 미래의 발전에 나서자는 것이다.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3 豆瓣
作者: 백선엽 Bookfield 2017 - 4
6.25가 낳은 우리 전쟁 철학 시리즈의 완결판!
“두려움 앞에서 우리는 너무 자주 무너졌다”]
우리 곁에 현존하는 6.25전쟁 최고의 영웅, 백선엽 장군이 ‘6.25전쟁 징비록’ 시리즈를 마침내 매듭짓는다. 대미를 장식하는 이번 3권에서는 우리 국군의 뼈아픈 패전(敗戰)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중공군의 공격 앞에 맥없이 무너지고, 등을 보이며 도망치기를 반복해야 했던 국군의 부족한 면모들을 소상히 밝혀,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말자는 뚜렷한 메시지를 담았다. 명장의 시선에 비친 지나간 전쟁의 면면들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떤 울림을 전해주는지 주목해볼 만하다.
6.25전쟁 67주년을 앞둔 2017년 현재, 우리에게 전쟁이라는 두 글자는 어떤 의미로 새겨져 있을까. 한국 최초의 4성 장군이자, 영원히 6.25 최고의 야전 영웅으로 기억될 백선엽 장군은 잊혀져가는 전쟁을 다시 현실로 불러왔다. 맥아더와 리지웨이, 펑더화이, 김일성 등 전쟁을 주도한 주요 지휘관들의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었던 ‘제1권 군은 어떤 존재인가’부터, 6.25전쟁의 기록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인 밴 플리트 장군과 그를 둘러싼 전황을 집중적으로 회고한 ‘제2권 나아갈 때 물러설 때’까지. 우리는 노장의 회고를 통해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의 무게를 다시금 새길 수 있었다.
시리즈의 마지막 권인『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3권 두려움에 맞서는 법』은 유성룡 선생의 저서에서 그 의미를 착안한 ‘징비록(懲毖錄)’이라는 제목에 다시 초점을 맞췄다. 전쟁 후반에 펼쳐진 횡성 전투, 사창리 전투와 현리 전투가 왜 뼈아픈 패배로 남을 수밖에 없었는지, 그 설욕을 씻어낸 용문산 전투의 과정은 어땠는지 등을 생생하게 회고한다. 세 권의 책으로 완성한 이 회고록을 마무리하며 백선엽 장군은 “어쩌면 삶의 모든 과정이 싸움”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제 전쟁의 진짜 모습을 온전히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삶에서도 이어지는 유무형의 전쟁들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