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国
野人时代 (2002) 豆瓣
야인시대
导演:
张亨一
演员:
安在模
/
金永哲
…
在韩国近代史中,朝鲜时期由于日本人入侵,又被称为日制时代。由于当时政治混乱,鱼龙混杂,一些混迹于社会底层的小流氓乱世称雄,靠拳头和聪明的头脑在社会上占据了一席之地。他们在韩国历史上被称为“野人”。这种情况类似于20世纪三四十年代的黄金荣、杜月笙,是上海滩流氓势力的代名词。
剧情梗概
金斗汉是“野人”圈子中厉害的角色,他用拳头和智慧创造了那个时代的神话。有人称他为乱世枭雄,也有人干脆就称他为二流子。金斗汉的一生在韩国近代史中矛盾最为激烈的时光中度过。他与一般的小混混不同,他出生于当时的军阀世家,是独立军总司令金左真的儿子,在他之后,他的六代子孙都是韩国的国会议员。本剧通过对他的一生的描写,真实再现了他生活的那个时代的风云变幻。
《野人时代》自2002年7月29日首播后收视率一路攀升,截至本月15日,《野人时代》的平均收视率达到51.5%,创下历史新高。在该剧播放的每周一、二,韩国就会出现万人空巷的局面。在韩国电视连续剧的播放历史中,播放12周后收视率超过50%的,惟有这部《野人时代》。不断攀升的收视率,预示了该片将继续走红。而该片的几位主演,在韩国的人气也攀升至最高点。韩国影星安在模近期人气陡增,毫无疑问坐到了韩剧男星的首席宝座上。再加上他在剧中非常能“打”,韩国媒体戏称他为“壮汉STAR”。据悉,由于安在模在剧中的出色表现,他目前接广告接到手软,而一部广告的酬金也高达1.8亿韩元。
制胜法宝:打破以家族为中心的框框
以黑暗时代中的风云人物金斗汉的一生为中心,描绘了他的人生、爱情和痛苦。打破了一般韩国电视剧以家族为中心的陈旧框框,通过线条粗犷的男性视角,独创了广泛引起观众共鸣的新型电视连续剧。
以暴力打响头炮
与为了利益、道义而争斗的现代黑帮片不同,他们只为了犯罪而犯罪。这是一个完全的暴力世界。但是在他们的拳头世界里,也有自己的规则和名誉观念。这也是一个男性的世界。将动作片的要素发挥到了最大化,每个打斗动作都非常具有可看性,向现代人展示了一个不可思议的,以拳头称霸的社会。但是在电视剧中宣扬这种暴力观念,为什么还会如此受欢迎呢?想必对于青少年的是非观念又有很大的影响力,是好是坏真是见仁见智了。
浓郁的人情味
剧中登场人物都具有鲜明的个性和独特的魅力,不仅具有一般韩国连续剧都有的人情味,而且通过那个特定年代、特定历史背景下人们对生活的不同理解,向我们展示了一幅独具特色的人物风情画。
韩国人的爱国心是举世闻名的。该剧中的民族意识不是那种夸张的民族意识,而是通过在人们的日常生活中自然流露的民族自尊心,让你感到那种有切肤之痛的民族爱憎。
剧情梗概
金斗汉是“野人”圈子中厉害的角色,他用拳头和智慧创造了那个时代的神话。有人称他为乱世枭雄,也有人干脆就称他为二流子。金斗汉的一生在韩国近代史中矛盾最为激烈的时光中度过。他与一般的小混混不同,他出生于当时的军阀世家,是独立军总司令金左真的儿子,在他之后,他的六代子孙都是韩国的国会议员。本剧通过对他的一生的描写,真实再现了他生活的那个时代的风云变幻。
《野人时代》自2002年7月29日首播后收视率一路攀升,截至本月15日,《野人时代》的平均收视率达到51.5%,创下历史新高。在该剧播放的每周一、二,韩国就会出现万人空巷的局面。在韩国电视连续剧的播放历史中,播放12周后收视率超过50%的,惟有这部《野人时代》。不断攀升的收视率,预示了该片将继续走红。而该片的几位主演,在韩国的人气也攀升至最高点。韩国影星安在模近期人气陡增,毫无疑问坐到了韩剧男星的首席宝座上。再加上他在剧中非常能“打”,韩国媒体戏称他为“壮汉STAR”。据悉,由于安在模在剧中的出色表现,他目前接广告接到手软,而一部广告的酬金也高达1.8亿韩元。
制胜法宝:打破以家族为中心的框框
以黑暗时代中的风云人物金斗汉的一生为中心,描绘了他的人生、爱情和痛苦。打破了一般韩国电视剧以家族为中心的陈旧框框,通过线条粗犷的男性视角,独创了广泛引起观众共鸣的新型电视连续剧。
以暴力打响头炮
与为了利益、道义而争斗的现代黑帮片不同,他们只为了犯罪而犯罪。这是一个完全的暴力世界。但是在他们的拳头世界里,也有自己的规则和名誉观念。这也是一个男性的世界。将动作片的要素发挥到了最大化,每个打斗动作都非常具有可看性,向现代人展示了一个不可思议的,以拳头称霸的社会。但是在电视剧中宣扬这种暴力观念,为什么还会如此受欢迎呢?想必对于青少年的是非观念又有很大的影响力,是好是坏真是见仁见智了。
浓郁的人情味
剧中登场人物都具有鲜明的个性和独特的魅力,不仅具有一般韩国连续剧都有的人情味,而且通过那个特定年代、特定历史背景下人们对生活的不同理解,向我们展示了一幅独具特色的人物风情画。
韩国人的爱国心是举世闻名的。该剧中的民族意识不是那种夸张的民族意识,而是通过在人们的日常生活中自然流露的民族自尊心,让你感到那种有切肤之痛的民族爱憎。
黎明的眼睛 (1991) 豆瓣
여명의 눈동자
导演:
金钟学
演员:
蔡时那
/
朴相元
…
《黎明的眼睛》(朝鲜语:여명의 눈동자,英语:Eyes of Dawn)是韩国MBC电视台于1991年10月7日至1992年2月6日期间播放的创台30周年特别计划连续剧。此剧根据韩国著名作家金圣钟的同名小说改编,以1943年朝鲜日治时期末期至1953年韩战结束时3个韩国人的故事作为主题,故事内容更穿插中国抗日战争时期的中华民国,部份外景更远赴中国大陆取景,由金钟学执导,宋智娜编剧,蔡时那、朴相元、崔宰诚、高贤廷主演。
此剧播出后得到42.0%的收视率,至今仍是韩国人最想重温的剧集之一。于2006年在韩国推出DVD。
此剧播出后得到42.0%的收视率,至今仍是韩国人最想重温的剧集之一。于2006年在韩国推出DVD。
直到金達萊花開 (1998) 豆瓣
진달래꽃 필 때까지
导演:
洪成德
/
김유철
演员:
廉晶雅
/
刘泰雄
…
《진달래꽃 필 때까지》는 1998년 1월 5일부터 1998년 1월 27일까지 방영된 KBS 2TV 월화 드라마이다.
당초 전작 《완벽한 남자를 만나는 방법》의 조기 종영으로 인해 긴급 편성되어 1997년 12월 23일에 첫 회가 나갈 예정이었으나 급하게 편성하면 작품에 해가 될 수 있다는 판단으로 그 시간대에 특집 프로그램을 편성하였다. 이 때문에 1998년 1월 5일로 첫 방영일이 바뀌었으며, 마지막 날인 1월 26일에는 7~8회가 연속으로 방영되었다.
한편, 199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만수대 무용단원 신영희가 1996년에 출간한 수필 《진달래꽃 필 때까지》를 원작으로, 소위 '기쁨조'의 삶을 비롯한 북한의 사회 실상을 그렸으나, 원작과 달리 드라마의 내용이 자극적이고 희화화되었다는 이유로 원작자로부터 강한 항의를 받기도 하였다.또한 극본을 담당한 정성산 역시 북한이탈주민 출신이다.
당초 전작 《완벽한 남자를 만나는 방법》의 조기 종영으로 인해 긴급 편성되어 1997년 12월 23일에 첫 회가 나갈 예정이었으나 급하게 편성하면 작품에 해가 될 수 있다는 판단으로 그 시간대에 특집 프로그램을 편성하였다. 이 때문에 1998년 1월 5일로 첫 방영일이 바뀌었으며, 마지막 날인 1월 26일에는 7~8회가 연속으로 방영되었다.
한편, 1995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에서 대한민국으로 귀순한 만수대 무용단원 신영희가 1996년에 출간한 수필 《진달래꽃 필 때까지》를 원작으로, 소위 '기쁨조'의 삶을 비롯한 북한의 사회 실상을 그렸으나, 원작과 달리 드라마의 내용이 자극적이고 희화화되었다는 이유로 원작자로부터 강한 항의를 받기도 하였다.또한 극본을 담당한 정성산 역시 북한이탈주민 출신이다.
首尔之春 (2023) TMDB IMDb 豆瓣 维基数据
서울의 봄
8.0 (490 个评分)
导演:
金成洙
演员:
黄政民
/
郑雨盛
…
其它标题:
서울의 봄
/
12.12:首爾之春
…
1979年10月26日,时任韩国总统的朴正熙被自己的亲信射杀,局势顿时波谲云诡。为调查此事,陆军保安司令官全斗光(黄政民 饰)被任命为联合调查总部部长,而这个天生反骨的男人趁机扩大自己的势力,拉帮结伙,培植亲信,狼子野心昭然若揭。为了牵制全斗光,参谋总长任命将军李泰信(郑雨盛 饰)担任首都警备司令官,以防肘腋之变。与此同时,全斗光感受到来自总长的威胁,于是纠集亲信密谋逮捕总长,试图先下手为强。谁曾想全的人马急于求成,在未能逼迫代总统签署逮捕令之前便展开行动。成王败寇,一旦失败就会成为韩国的叛国者。一不做二不休的全斗光索性揭竿而起。
而孤军奋战的李泰信,将秉承最朴素的信念与叛军展开对抗……
而孤军奋战的李泰信,将秉承最朴素的信念与叛军展开对抗……
我们国家的道路 豆瓣
Our Nation's Path
作者:
朴正熙
译者:
陈琦伟 等
华夏出版社
1988
- 3
书籍简介:
我想,我们的历史遗产落在我们的肩上是过于沉重了,好象使我们无法前进。自从1945年光复以后,我们的国家遭受了特殊的苦难,17年来,两届充斥着贪污腐化的政权制造了今日危机的基础,我们正陷于贫困和痛苦的恶性循环之中。
我懂得,一个病人不能仅靠一次所谓革命的外科手术来治愈;他的健康也不能仅仅靠切除病灶而达到。要防止旧病复发,就需要经久不变地讲究卫生和保持一个强健的体魄。
但是,我们能在哪里找到出路呢?应当有路,有某条路。我常深夜迟迟不能入睡,思考着我们民族的过去和未来,草草记下不时产生的想法,按顺序整理出来,便写成了这本书。书中的叙述是粗糙的,描写也常常过于零散,但通观全篇,它相当忠实地表述了作者的思想。
作者简介:
朴正熙(1917年9月30日-1979年10月26日),1917年出生于韩国庆尚北道的善山市。1937年,他毕业于大邱师范学校,40年,入读新京满洲军官学校,44年毕业。
韩国光复后,服役于韩国陆军。1960年,韩国爆发了3·15选举舞弊事件以及4·19革命,整个国家陷入一片混乱当中。朴正熙当时担任第2军副司令。他表示要“尽快拯救陷入混乱中的祖国以及生活在水生火热之中的人民”,与青年将校们一起领导了1961年的5·16军事政变。
政变成功后,朴正熙掌握了最高国家权力,成为大韩民国第5至第9任总统,任期长达18年之久。
朴正熙任内最重要的政绩在于促成京釜高速国道的兴建,亦大力推行新村运动改革农村,使韩国的物流大幅改善,经济得以突飞猛进。韩国的GDP在1969年首次超越北韩,国民普遍认为那是朴正熙的改革取得成效。
朴正熙以俭朴著称,在任内大力整肃歪风,坚定捍卫自由立场,即使身故多年仍然赢得南韩国民的掌声。
但是,70年代以后,相对性的贫困现象的深化、长期执政所带来的副作用以及反维新民主化运动在很大程度上削弱了朴正熙的执政基础。为了保住执政地位,朴正熙反而愈加强硬地压制民主化的要求。政府通过了紧急措施,有很多人因此而被捕,此后以政治人物、知识分子、学生、宗教界人士为中心的民主化运动以及在经济开发过程中被忽略的劳动者和农民为中心的保卫生存权的运动愈演愈烈。
1979年10月26日朴正熙被韩国中央情报部首长金载圭暗杀身亡,终年62岁。
我想,我们的历史遗产落在我们的肩上是过于沉重了,好象使我们无法前进。自从1945年光复以后,我们的国家遭受了特殊的苦难,17年来,两届充斥着贪污腐化的政权制造了今日危机的基础,我们正陷于贫困和痛苦的恶性循环之中。
我懂得,一个病人不能仅靠一次所谓革命的外科手术来治愈;他的健康也不能仅仅靠切除病灶而达到。要防止旧病复发,就需要经久不变地讲究卫生和保持一个强健的体魄。
但是,我们能在哪里找到出路呢?应当有路,有某条路。我常深夜迟迟不能入睡,思考着我们民族的过去和未来,草草记下不时产生的想法,按顺序整理出来,便写成了这本书。书中的叙述是粗糙的,描写也常常过于零散,但通观全篇,它相当忠实地表述了作者的思想。
作者简介:
朴正熙(1917年9月30日-1979年10月26日),1917年出生于韩国庆尚北道的善山市。1937年,他毕业于大邱师范学校,40年,入读新京满洲军官学校,44年毕业。
韩国光复后,服役于韩国陆军。1960年,韩国爆发了3·15选举舞弊事件以及4·19革命,整个国家陷入一片混乱当中。朴正熙当时担任第2军副司令。他表示要“尽快拯救陷入混乱中的祖国以及生活在水生火热之中的人民”,与青年将校们一起领导了1961年的5·16军事政变。
政变成功后,朴正熙掌握了最高国家权力,成为大韩民国第5至第9任总统,任期长达18年之久。
朴正熙任内最重要的政绩在于促成京釜高速国道的兴建,亦大力推行新村运动改革农村,使韩国的物流大幅改善,经济得以突飞猛进。韩国的GDP在1969年首次超越北韩,国民普遍认为那是朴正熙的改革取得成效。
朴正熙以俭朴著称,在任内大力整肃歪风,坚定捍卫自由立场,即使身故多年仍然赢得南韩国民的掌声。
但是,70年代以后,相对性的贫困现象的深化、长期执政所带来的副作用以及反维新民主化运动在很大程度上削弱了朴正熙的执政基础。为了保住执政地位,朴正熙反而愈加强硬地压制民主化的要求。政府通过了紧急措施,有很多人因此而被捕,此后以政治人物、知识分子、学生、宗教界人士为中心的民主化运动以及在经济开发过程中被忽略的劳动者和农民为中心的保卫生存权的运动愈演愈烈。
1979年10月26日朴正熙被韩国中央情报部首长金载圭暗杀身亡,终年62岁。
將軍之夜: 韓國雙十二事件 豆瓣
作者:
【韩国】鄭昇和
译者:
王俊
時報文化
1989
- 5
現代史上,如南韓雙十二事件般戲劇性的政變,誠屬少見。而該一被稱為「準政變」的南韓近代政治史上一大懸案,雖然經過無數的媒體爭相報導後,大致的輪廓已為世人所知,但遺憾的是:事件的核心始終卻總給人一種「霧裡看花」的感覺。因此,鄭昇和將軍本身肯冒著自己生命的危機,寫下這本「回憶錄」,不但向歷史作了交待,更讓是非、真理,得以在適當的時機,渲洩而出。這種道德勇氣,是令人欽佩的。
最寒冷的冬天Ⅱ 豆瓣
군과 나:6•25 한국전쟁 회고록
作者:
白善烨
译者:
金勇
重庆出版社
2013
- 2
不可逾越的三八线 难以逃脱的宿命
曾经对金日成顶礼膜拜的白善烨为何会效忠李承晚?
“战神”麦克阿瑟为何会惨淡退出历史舞台?
身先士卒的李奇微是如何在朝鲜战场上运筹帷幄?
晚年的李承晚又是如何在韩国政坛作垂死挣扎?
朝鲜战争结束60多年后的今天,三八线上依然硝烟弥漫,作为战争中“最应该”的主角韩国人,在面对无法承受的命运之痛时,又是如何看待这段历史的呢?
朝鲜战争不仅直接导致了今天朝鲜半岛上两个国家的对立,而且由于中国、美国、苏联等大国的介入,这场厮杀的主角已悄然易手。虽已过去60多年,但在近代中国人的集体记忆里,似乎中国才是这场战争的领衔主演。然而,朝鲜战争的真相,真就如我们所了解的那样吗?
洛东江战役的死里逃生,多富洞大捷的欣喜若狂,进驻平壤的意气风发,兵败汉城的绝望无奈,停战谈判中的现实无助,创建韩军的踌躇满志….. 作为韩国第一位全程参与朝鲜战争及战后重建的陆军上将,韩国人到底如何解读这场没有赢家的战争,韩国第一猛将白善烨将在这本酝酿60年之久的回忆录中给出最权威的答案。
生动的战史记录 全面的战争反思
曾经对金日成顶礼膜拜的白善烨为何会效忠李承晚?
“战神”麦克阿瑟为何会惨淡退出历史舞台?
身先士卒的李奇微是如何在朝鲜战场上运筹帷幄?
晚年的李承晚又是如何在韩国政坛作垂死挣扎?
朝鲜战争结束60多年后的今天,三八线上依然硝烟弥漫,作为战争中“最应该”的主角韩国人,在面对无法承受的命运之痛时,又是如何看待这段历史的呢?
朝鲜战争不仅直接导致了今天朝鲜半岛上两个国家的对立,而且由于中国、美国、苏联等大国的介入,这场厮杀的主角已悄然易手。虽已过去60多年,但在近代中国人的集体记忆里,似乎中国才是这场战争的领衔主演。然而,朝鲜战争的真相,真就如我们所了解的那样吗?
洛东江战役的死里逃生,多富洞大捷的欣喜若狂,进驻平壤的意气风发,兵败汉城的绝望无奈,停战谈判中的现实无助,创建韩军的踌躇满志….. 作为韩国第一位全程参与朝鲜战争及战后重建的陆军上将,韩国人到底如何解读这场没有赢家的战争,韩国第一猛将白善烨将在这本酝酿60年之久的回忆录中给出最权威的答案。
生动的战史记录 全面的战争反思
南山的部長們 豆瓣
남산의 부장들
作者:
金忠植
译者:
馮燕珠
凌宇
2021
朴正熙與KCIA的恩怨情仇
再現政變與暗殺的陰謀現場
──欲入主青瓦台,必先控制南山!
南山,韓國中央情報部KCIA所在地,也是韓國情報中心的代名詞。
掌握南山的「部長們」手握強權,幾乎是總統之下的最高權力者,他們對付政敵、綁架異議者,甚至,刺殺總統──
☆電影《南山的部長們》經典原著
☆血腥與權力寫下的歷史紀錄
☆韓國現代政治史入門的不朽巨作
一九六一年,朴正熙藉著五一六軍事政變發起革命,推翻了第二共和國,將政治權力收入囊中,開啟他連任五屆、長達十八年的總統任期。政變之後,朴正熙仿造美國中央情報局CIA,於南山成立「大韓民國中央情報部(KCIA)」,由參與政變的金鍾泌中校出任第一任部長;從此,「南山」就變成了中央情報部的代稱。
「南山」為總統效力。他們竊聽、跟蹤、綁架、拷問、暗殺,無所不用其極地打壓政敵,而且不只在韓國境內,甚至在其他國家,也曾發動類似「金大中綁架事件」一般綁架反對派領袖的暴力行動,令人不寒而慄。
掌握南山的「部長們」擁有一人之下、萬人之上的權位,每任部長都是總統倚重的助力,但也是總統猜疑的對象。一九七九年十月廿六日,中央情報部第八任部長金載圭,竟然舉槍刺殺了一手提拔自己的朴正熙,也使中央情報部走入歷史,而被日後的國家安全企劃部取代。但「南山」並未消失,反而在陰暗的角落,更加壯大。
朴正熙雖死,但「他的時代」仍持續影響韓國社會。全斗煥、盧泰愚、金鍾泌、金泳三、金大中,甚至是盧武鉉、文在寅、朴槿惠,每一個日後掌握韓國最高權力的政治人物,都跟朴正熙有複雜的恩怨情仇;因此,要理解現代韓國的歷史與政治,就不能不了解「朴正熙時代」。
而如同朴正熙,後來的歷任總統也都仰賴自己的「南山部長們」,統治國家。因此,了解「南山」,就成為探究「朴正熙時代」及現代韓國政治的重要關鍵。
本書正是「南山」這個情報機關的活動實錄。作者透過真實紀錄與相關人士的證詞,回顧朴正熙執政十八年間發生的大大小小事件,深入挖掘隱藏在事件背後,那些不為人知的情報部身影,曝露出權力中樞令人震驚的種種作為,並觸及韓國現代政治史的核心。
再現政變與暗殺的陰謀現場
──欲入主青瓦台,必先控制南山!
南山,韓國中央情報部KCIA所在地,也是韓國情報中心的代名詞。
掌握南山的「部長們」手握強權,幾乎是總統之下的最高權力者,他們對付政敵、綁架異議者,甚至,刺殺總統──
☆電影《南山的部長們》經典原著
☆血腥與權力寫下的歷史紀錄
☆韓國現代政治史入門的不朽巨作
一九六一年,朴正熙藉著五一六軍事政變發起革命,推翻了第二共和國,將政治權力收入囊中,開啟他連任五屆、長達十八年的總統任期。政變之後,朴正熙仿造美國中央情報局CIA,於南山成立「大韓民國中央情報部(KCIA)」,由參與政變的金鍾泌中校出任第一任部長;從此,「南山」就變成了中央情報部的代稱。
「南山」為總統效力。他們竊聽、跟蹤、綁架、拷問、暗殺,無所不用其極地打壓政敵,而且不只在韓國境內,甚至在其他國家,也曾發動類似「金大中綁架事件」一般綁架反對派領袖的暴力行動,令人不寒而慄。
掌握南山的「部長們」擁有一人之下、萬人之上的權位,每任部長都是總統倚重的助力,但也是總統猜疑的對象。一九七九年十月廿六日,中央情報部第八任部長金載圭,竟然舉槍刺殺了一手提拔自己的朴正熙,也使中央情報部走入歷史,而被日後的國家安全企劃部取代。但「南山」並未消失,反而在陰暗的角落,更加壯大。
朴正熙雖死,但「他的時代」仍持續影響韓國社會。全斗煥、盧泰愚、金鍾泌、金泳三、金大中,甚至是盧武鉉、文在寅、朴槿惠,每一個日後掌握韓國最高權力的政治人物,都跟朴正熙有複雜的恩怨情仇;因此,要理解現代韓國的歷史與政治,就不能不了解「朴正熙時代」。
而如同朴正熙,後來的歷任總統也都仰賴自己的「南山部長們」,統治國家。因此,了解「南山」,就成為探究「朴正熙時代」及現代韓國政治的重要關鍵。
本書正是「南山」這個情報機關的活動實錄。作者透過真實紀錄與相關人士的證詞,回顧朴正熙執政十八年間發生的大大小小事件,深入挖掘隱藏在事件背後,那些不為人知的情報部身影,曝露出權力中樞令人震驚的種種作為,並觸及韓國現代政治史的核心。
The Korean War 豆瓣
作者:
Bruce Cumings
Modern Library
2011
- 7
A bracing account of a war that lingers in our collective memory as both ambiguous and unjustly ignored
For Americans, it was a discrete conflict lasting from 1950 to 1953 that has long been overshadowed by World War II, Vietnam, and the War on Terror. But as Bruce Cumings eloquently explains, for the Asian world the Korean War was a generations-long fight that still haunts contemporary events. And in a very real way, although its true roots and repercussions continue to be either misunderstood, forgotten, or willfully ignored, it is the war that helped form modern America’s relationship to the world.
With access to new evidence and secret materials from both here and abroad, including an archive of captured North Korean documents, Cumings reveals the war as it was actually fought. He describes its start as a civil war, preordained long before the first shots were fired in June 1950 by lingering fury over Japan’s occupation of Korea from 1910 to 1945. Cumings then shares the neglected history of America’s post–World War II occupation of Korea, the untold stories of bloody insurgencies and rebellions, and the powerful militaries organized and equipped by America and the Soviet Union in that divided land. He tells of the United States officially entering the action on the side of the South, and exposes as never before the appalling massacres andatrocities committed on all sides and the “oceans of napalm” dropped on the North by U.S. forces in a remarkably violent war that killed as many as four million Koreans, two thirds of whom were civilians.
In sobering detail, The Korean War chronicles a U.S. home front agitated by Joseph McCarthy, where absolutist conformity discouraged open inquiry and citizen dissent. Cumings incisively ties our current foreign policy back to Korea: an America with hundreds of permanent military bases abroad, a large standing army, and a permanent national security state at home, the ultimate result of a judicious and limited policy of containment evolving into an ongoing and seemingly endless global crusade.
Elegantly written and blisteringly honest, The Korean War is, like the war it illuminates, brief, devastating, and essential.
From the Hardcover edition.
For Americans, it was a discrete conflict lasting from 1950 to 1953 that has long been overshadowed by World War II, Vietnam, and the War on Terror. But as Bruce Cumings eloquently explains, for the Asian world the Korean War was a generations-long fight that still haunts contemporary events. And in a very real way, although its true roots and repercussions continue to be either misunderstood, forgotten, or willfully ignored, it is the war that helped form modern America’s relationship to the world.
With access to new evidence and secret materials from both here and abroad, including an archive of captured North Korean documents, Cumings reveals the war as it was actually fought. He describes its start as a civil war, preordained long before the first shots were fired in June 1950 by lingering fury over Japan’s occupation of Korea from 1910 to 1945. Cumings then shares the neglected history of America’s post–World War II occupation of Korea, the untold stories of bloody insurgencies and rebellions, and the powerful militaries organized and equipped by America and the Soviet Union in that divided land. He tells of the United States officially entering the action on the side of the South, and exposes as never before the appalling massacres andatrocities committed on all sides and the “oceans of napalm” dropped on the North by U.S. forces in a remarkably violent war that killed as many as four million Koreans, two thirds of whom were civilians.
In sobering detail, The Korean War chronicles a U.S. home front agitated by Joseph McCarthy, where absolutist conformity discouraged open inquiry and citizen dissent. Cumings incisively ties our current foreign policy back to Korea: an America with hundreds of permanent military bases abroad, a large standing army, and a permanent national security state at home, the ultimate result of a judicious and limited policy of containment evolving into an ongoing and seemingly endless global crusade.
Elegantly written and blisteringly honest, The Korean War is, like the war it illuminates, brief, devastating, and essential.
From the Hardcover edition.
백선엽의 6.25 전쟁 징비록 1 豆瓣
作者:
백선엽
Bookfield
2016
- 7
패전(敗戰)의 역사로 돌아보는 우리의 싸움 기질
우리는 이미 6.25전쟁에 대해 숱하게 들어왔다. 각종 회고록과 역사책, 기록물들이 그 증거다. 하지만 그것들이 6.25전쟁을 제대로 기록하고 있었을까. 책의 저자인 백선엽(96) 예비역 대장은 고개를 가로젓는다.그는 6.25전쟁의 흐름을 관통한 최고의 야전(野戰) 영웅으로 인정받는 인물이다. 한반도 전역을 누비며 전쟁의 현장을 진두지휘했으며, 혹독한 전투 속에서 수많은 죽음의 위기를 겪으면서도 대승을 이끌어냈다. 그런 그가 역사 속에 가려져있던 우리군의 진짜 모습을 꺼내보려 한다. 또한 전쟁 상황에서 우리가 남긴 실수와 아쉬움을 되짚고 그를 통해 미래를 대비하는 자세까지 생각해보게끔 한다.
‘징비록(懲毖錄)’은 그렇게 붙여진 이름이다. 380여 년 전 출간한 유성룡 선생의 동명 저서에서 그 의미를 착안했다. 6.25전쟁 속에 감춰진 패전(敗戰)의 순간들과 그 과정을 제대로 기록하고, 앞으로 언제 닥쳐올지 모를 또 다른 전쟁을 준비하자고 목소리를 낸 것이다.
2013년부터 프리미엄 조선에서 연재했던 ‘백선엽의 6.25 징비록’을 총 3권의 시리즈로 엮었다. 그 서막을 여는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1권 軍은 어떤 존재인가》는 맥아더, 리지웨이, 펑더화이, 김일성 등 저자가 전장에서 마주쳤던 지휘관들의 비화(?話)를 통해 그들의 리더십과 전쟁의 본질을 이야기한다. 또 일련의 군사·정치적 사건들을 바탕으로 6.25전쟁 속 한국군과 미군, 북한군과 중공군의 실제 모습이 어땠는지 파헤쳐본다. 과거의 우리가 진정으로 잘 싸웠는지, 나아가 미래의 우리는 잘 싸울 수 있을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볼 기회를 주는 책이다.
우리는 이미 6.25전쟁에 대해 숱하게 들어왔다. 각종 회고록과 역사책, 기록물들이 그 증거다. 하지만 그것들이 6.25전쟁을 제대로 기록하고 있었을까. 책의 저자인 백선엽(96) 예비역 대장은 고개를 가로젓는다.그는 6.25전쟁의 흐름을 관통한 최고의 야전(野戰) 영웅으로 인정받는 인물이다. 한반도 전역을 누비며 전쟁의 현장을 진두지휘했으며, 혹독한 전투 속에서 수많은 죽음의 위기를 겪으면서도 대승을 이끌어냈다. 그런 그가 역사 속에 가려져있던 우리군의 진짜 모습을 꺼내보려 한다. 또한 전쟁 상황에서 우리가 남긴 실수와 아쉬움을 되짚고 그를 통해 미래를 대비하는 자세까지 생각해보게끔 한다.
‘징비록(懲毖錄)’은 그렇게 붙여진 이름이다. 380여 년 전 출간한 유성룡 선생의 동명 저서에서 그 의미를 착안했다. 6.25전쟁 속에 감춰진 패전(敗戰)의 순간들과 그 과정을 제대로 기록하고, 앞으로 언제 닥쳐올지 모를 또 다른 전쟁을 준비하자고 목소리를 낸 것이다.
2013년부터 프리미엄 조선에서 연재했던 ‘백선엽의 6.25 징비록’을 총 3권의 시리즈로 엮었다. 그 서막을 여는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1권 軍은 어떤 존재인가》는 맥아더, 리지웨이, 펑더화이, 김일성 등 저자가 전장에서 마주쳤던 지휘관들의 비화(?話)를 통해 그들의 리더십과 전쟁의 본질을 이야기한다. 또 일련의 군사·정치적 사건들을 바탕으로 6.25전쟁 속 한국군과 미군, 북한군과 중공군의 실제 모습이 어땠는지 파헤쳐본다. 과거의 우리가 진정으로 잘 싸웠는지, 나아가 미래의 우리는 잘 싸울 수 있을지에 대해 깊이 생각해볼 기회를 주는 책이다.
백선엽의 6.25 전쟁 징비록 2 豆瓣
作者:
백선엽
Bookfield
2016
- 10
6.25전쟁의 산증인, 백선엽이 말하는
전쟁의 진정한 의미
백선엽 예비역 대장은 강인하면서도 부드러운 리더십으로 한반도 중심에서 발발한 수많은 전투를 승리로 이끈 야전 지휘관이자, 역사의 산증인이다. 그가 지난 2016년 여름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시리즈를 세상에 내놓자, 그 반응은 무척 뜨거웠다. 반세기가 훨씬 지난 전장의 여파가 아직 진정되지 않은 듯했다. 그야말로 2016년판 ‘신(新) 징비록’인 셈이었다. 그리고 드디어 그 둘째 이야기,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2권 나아갈 때와 물러설 때』가 나왔다.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시리즈는 2013년부터 [프리미엄 조선]에 연재했던 ‘백선엽의 6.25 징비록’을 총 세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이 시리즈는 우리가 잊고 지냈던 6.25전쟁 당시 상황과 역사적 흐름을 생생하게 회고한다. ‘전쟁이란 무엇인가’, ‘전쟁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 ‘전투의 성패(成敗) 요인‘ 등 수없이 많은 전쟁의 의미들은 과연 2016년의 우리에게 어떠한 가치를 던질까. 저자는 바로 그 점에 주목했다. 무엇보다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았고, 못했던 우리 군의 패착을 여실히 들춰봄으로써 사회라는 전쟁터에서 우리가 갖춰야 할 덕목이 무엇일지 함께 고민한다. 유성룡 선생의 ‘징비록(懲毖錄)’에서 표제를 따온 이유도 이 때문이다.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2권 나아갈 때와 물러설 때』는 대한민국 국방의 초석을 다지는 데 큰 힘을 보탠 밴 플리트 장군을 집중 조명했다. 뿐만 아니라 잘 알려진 다부동 전투를 비롯해 국군 최초의 평양 진격 성과 등에 담긴 자세한 곡절을 소개한다. 역사가 상세히 기록하지 않았던 6.25전쟁 초기의 상활을 냉철하고 생생히 회고한다.
이어서 나올 3권에서는 우리 군대가 맞은 참패의 기록을 구체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6.25전쟁은 분명 잊어서는 안 될 우리 모두의 과거이며 역사적 사건이다. 저자는 그러한 6.25전쟁을 이왕이면 ‘제대로’ 알 필요가 있다고 거듭 말한다. 우리의 실수와 한계점을 명료하게 기록하고 인정해 미래의 발전에 나서자는 것이다.
전쟁의 진정한 의미
백선엽 예비역 대장은 강인하면서도 부드러운 리더십으로 한반도 중심에서 발발한 수많은 전투를 승리로 이끈 야전 지휘관이자, 역사의 산증인이다. 그가 지난 2016년 여름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시리즈를 세상에 내놓자, 그 반응은 무척 뜨거웠다. 반세기가 훨씬 지난 전장의 여파가 아직 진정되지 않은 듯했다. 그야말로 2016년판 ‘신(新) 징비록’인 셈이었다. 그리고 드디어 그 둘째 이야기,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2권 나아갈 때와 물러설 때』가 나왔다.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시리즈는 2013년부터 [프리미엄 조선]에 연재했던 ‘백선엽의 6.25 징비록’을 총 세 권의 책으로 엮은 것이다. 이 시리즈는 우리가 잊고 지냈던 6.25전쟁 당시 상황과 역사적 흐름을 생생하게 회고한다. ‘전쟁이란 무엇인가’, ‘전쟁은 우리에게 무엇을 남겼나’, ‘전투의 성패(成敗) 요인‘ 등 수없이 많은 전쟁의 의미들은 과연 2016년의 우리에게 어떠한 가치를 던질까. 저자는 바로 그 점에 주목했다. 무엇보다 아무도 이야기하지 않았고, 못했던 우리 군의 패착을 여실히 들춰봄으로써 사회라는 전쟁터에서 우리가 갖춰야 할 덕목이 무엇일지 함께 고민한다. 유성룡 선생의 ‘징비록(懲毖錄)’에서 표제를 따온 이유도 이 때문이다.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2권 나아갈 때와 물러설 때』는 대한민국 국방의 초석을 다지는 데 큰 힘을 보탠 밴 플리트 장군을 집중 조명했다. 뿐만 아니라 잘 알려진 다부동 전투를 비롯해 국군 최초의 평양 진격 성과 등에 담긴 자세한 곡절을 소개한다. 역사가 상세히 기록하지 않았던 6.25전쟁 초기의 상활을 냉철하고 생생히 회고한다.
이어서 나올 3권에서는 우리 군대가 맞은 참패의 기록을 구체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6.25전쟁은 분명 잊어서는 안 될 우리 모두의 과거이며 역사적 사건이다. 저자는 그러한 6.25전쟁을 이왕이면 ‘제대로’ 알 필요가 있다고 거듭 말한다. 우리의 실수와 한계점을 명료하게 기록하고 인정해 미래의 발전에 나서자는 것이다.
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3 豆瓣
作者:
백선엽
Bookfield
2017
- 4
6.25가 낳은 우리 전쟁 철학 시리즈의 완결판!
“두려움 앞에서 우리는 너무 자주 무너졌다”]
우리 곁에 현존하는 6.25전쟁 최고의 영웅, 백선엽 장군이 ‘6.25전쟁 징비록’ 시리즈를 마침내 매듭짓는다. 대미를 장식하는 이번 3권에서는 우리 국군의 뼈아픈 패전(敗戰)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중공군의 공격 앞에 맥없이 무너지고, 등을 보이며 도망치기를 반복해야 했던 국군의 부족한 면모들을 소상히 밝혀,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말자는 뚜렷한 메시지를 담았다. 명장의 시선에 비친 지나간 전쟁의 면면들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떤 울림을 전해주는지 주목해볼 만하다.
6.25전쟁 67주년을 앞둔 2017년 현재, 우리에게 전쟁이라는 두 글자는 어떤 의미로 새겨져 있을까. 한국 최초의 4성 장군이자, 영원히 6.25 최고의 야전 영웅으로 기억될 백선엽 장군은 잊혀져가는 전쟁을 다시 현실로 불러왔다. 맥아더와 리지웨이, 펑더화이, 김일성 등 전쟁을 주도한 주요 지휘관들의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었던 ‘제1권 군은 어떤 존재인가’부터, 6.25전쟁의 기록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인 밴 플리트 장군과 그를 둘러싼 전황을 집중적으로 회고한 ‘제2권 나아갈 때 물러설 때’까지. 우리는 노장의 회고를 통해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의 무게를 다시금 새길 수 있었다.
시리즈의 마지막 권인『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3권 두려움에 맞서는 법』은 유성룡 선생의 저서에서 그 의미를 착안한 ‘징비록(懲毖錄)’이라는 제목에 다시 초점을 맞췄다. 전쟁 후반에 펼쳐진 횡성 전투, 사창리 전투와 현리 전투가 왜 뼈아픈 패배로 남을 수밖에 없었는지, 그 설욕을 씻어낸 용문산 전투의 과정은 어땠는지 등을 생생하게 회고한다. 세 권의 책으로 완성한 이 회고록을 마무리하며 백선엽 장군은 “어쩌면 삶의 모든 과정이 싸움”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제 전쟁의 진짜 모습을 온전히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삶에서도 이어지는 유무형의 전쟁들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두려움 앞에서 우리는 너무 자주 무너졌다”]
우리 곁에 현존하는 6.25전쟁 최고의 영웅, 백선엽 장군이 ‘6.25전쟁 징비록’ 시리즈를 마침내 매듭짓는다. 대미를 장식하는 이번 3권에서는 우리 국군의 뼈아픈 패전(敗戰)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중공군의 공격 앞에 맥없이 무너지고, 등을 보이며 도망치기를 반복해야 했던 국군의 부족한 면모들을 소상히 밝혀,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말자는 뚜렷한 메시지를 담았다. 명장의 시선에 비친 지나간 전쟁의 면면들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어떤 울림을 전해주는지 주목해볼 만하다.
6.25전쟁 67주년을 앞둔 2017년 현재, 우리에게 전쟁이라는 두 글자는 어떤 의미로 새겨져 있을까. 한국 최초의 4성 장군이자, 영원히 6.25 최고의 야전 영웅으로 기억될 백선엽 장군은 잊혀져가는 전쟁을 다시 현실로 불러왔다. 맥아더와 리지웨이, 펑더화이, 김일성 등 전쟁을 주도한 주요 지휘관들의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었던 ‘제1권 군은 어떤 존재인가’부터, 6.25전쟁의 기록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인 밴 플리트 장군과 그를 둘러싼 전황을 집중적으로 회고한 ‘제2권 나아갈 때 물러설 때’까지. 우리는 노장의 회고를 통해 아직 끝나지 않은 전쟁의 무게를 다시금 새길 수 있었다.
시리즈의 마지막 권인『백선엽의 6.25전쟁 징비록: 제3권 두려움에 맞서는 법』은 유성룡 선생의 저서에서 그 의미를 착안한 ‘징비록(懲毖錄)’이라는 제목에 다시 초점을 맞췄다. 전쟁 후반에 펼쳐진 횡성 전투, 사창리 전투와 현리 전투가 왜 뼈아픈 패배로 남을 수밖에 없었는지, 그 설욕을 씻어낸 용문산 전투의 과정은 어땠는지 등을 생생하게 회고한다. 세 권의 책으로 완성한 이 회고록을 마무리하며 백선엽 장군은 “어쩌면 삶의 모든 과정이 싸움”이라고 말한다. 우리는 이제 전쟁의 진짜 모습을 온전히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삶에서도 이어지는 유무형의 전쟁들을 잘 헤쳐 나갈 수 있을 것이다.